• 전시회 안내
  • 시장 동향

시장 동향

베트남 개요

  • 면 적 : 331,345㎢(한반도의 1.5배)
  • 인 구 : 약 1억 30만명(‘23년 베트남 통계총국)
  • 시 차 : 한국보다 2시간 늦음(G.M.T +7시간)
  • GDP : 4,333.6억 달러(‘23년 명목 GDP 기준,IMF)
  • 경제성장률 : 5.05%(물가상승률: 3.25%)
  • 정치체제 : 사회주의 공화국

국가별 수출입 동향 2023년 1~3분기 베트남의 주요 수출·수입국 현황

(단위: US$ 백만, %)
순위 국가명 수출액(비중)
1 미국 70,234(27.1)
2 중국 42,860(16.6)
3 한국 17,696(6.8)
  • 베트남의 주요 수출국: 미국(1위, 702억불), 중국(2위, 428억불), 한국(3위,176억불)
  • 베트남의 주요 수입국: 중국(1위, 791억불), 한국(2위, 382억불), 일본(3위 157억불) 순
순위 국가명 수입액(비중)
1 중국 79,179(33.4)
2 한국 38,226(16.1)
3 일본 15,714(6.6)

베트남 환경 & 에너지 시장분석

  • 수처리
    • 23년 베트남의 물 공급 및 폐수처리 산업은 전년 대비 약 5.5% 성장
    • 경쟁력: 수자원 처리 및 공급 활동의 총 경제적 가치는 약 4조 5,765억 VND에 달하며, 이는 지속적인 산업 확장을 시사 → 한국기업의 우수한 수처리 기술은 베트남의 수요와 적합하여 다양한 기회창출 제공
  • 폐기물·자원화
    • 경제적 가치: 2023년 기준 베트남의 폐기물 수집, 처리, 자원화 활동의 총 경제적 가치는 약 7조 4,101억 VND, 폐기물 관련 사업의 성장세는 안정적이며, 지속 가능한 기술 필요성 증가
    • 주요수치: 23년 베트남 위험 폐기물 발생량 약 1,381,140톤이며 친환경 자원화 기술 및 솔루션 필요
  • 대기공조·측정기기
    • 23년 베트남 대기공조·전력·가스·증기 공급산업은 총 2조 4천억 VND이상 가치를 기록하며 전년대비 약 3.7% 성장
    • 경쟁력: 23년 베트남 내 생산된 가정용 에어컨 수는 약 965,000대로서 지속 가능한 공조 기술을 목표로 하여 한국의 첨단 기술은 높은 경쟁력을 실현
  • 전력·발전·원자력
    • 23년 기준 베트남의 전력 생산량은 268,253백만 kWh로 전년 대비 증가
    • 경쟁력: 베트남은 에너지 전환과 효율성 향상을 위해 첨단 발전 기술 친환경 솔루션 필요
  • 신재생에너지
    • 1차 에너지 공급량은 101,769 KTOE로 주요 에너지원은 석탄, 원유, 전력 등으로 구성
    • 경쟁력 및 기회: 베트남 정부는 2050년 탄소 중립을 목표로 신재생에너지 비중 확대
      → 외국기업과 파트너쉽을 통해 기술 및 인프라 강화
  • 원유·천연가스
    • 23년 베트남의 원유 생산량은 2,768천톤으로 전년대비 소폭 증가
    • 경쟁력: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한국의 액화천연가스(LNG) 및 첨단가스처리 기술은 베트남의 산업 성장과 경제발전에 따른 수요증가로 유리한 위치
  • 자료출처: 2023 베트남 통계연감(베트남 통계총국) / 2024 베트남 진출전략(KOTRA 하노이무역관)